
마이크에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고 있는데 우선 소리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두 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이내믹 형과 콘덴서 형이 그것으로, 다이내믹은 음파의 진동을 전기로 발생시키고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콘덴서는 고정판과 진동판 사이의 간격이 변함에 따라 캐패시턴스(축전 용량)가 변하는 것을 감지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홈 리코딩용 콘덴서 마이크 중에서는 건전지를 내장하고 있어서 별도의 전원이 없어도 동작하는 것도 있다. 더 고급형으로 가면 A/D까지 내장해서 아예 USB로 연결하는 타입도 있다. 물론 가정용/개인용 한정이고 어느 정도 상급으로 올라가면 여전히 믹서로부터 공급되는 48V 팬텀 파워를 받아야 한다. 대당 1천만 원급을 넘나드는 마이크의 경우 아예 자체 프리..

다이나믹 마이크 - 둥근 원형 자석에 원형의 홈이 나있고 그 사이에 스프링처럼 감긴 코일이 들어 있다. 기본적으로 자가발전 형태이기에 콘덴서처럼 따로 전원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코일이 진동막에 연결되어 있어 소리가 진동판을 거쳐 자석의 원형 극사이에서 코일을 진동시켜 플레밍의 완속법칙에 따라 약한 전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서 스피커를 거꾸로 사용하는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 약한 전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콘덴서 마이크에 비해서는 감도가 낮은데, 장점으로 보면 높은 음압에도 버틸 수 있어서 드럼의 스네어나 기타 앰프, 관악기 등의 녹음에도 쓰인다. 그래서 웬만하면 피드백 현상이 일어날 일이 적기 때문에 대부분의 노래방과 수많은 가수들이 라이브 공연에서 사용한다. 사실 다이나믹 마이크..

마이크로폰(Microphone) 전화기나 라디오의 송화기 따위와 같이 음파를 받아 똑같은 파형의 음성 전류로 바꾸는 장치를 통틀어 이른 말이다. 마이크로폰은 음파 입력 장치라고도 한다. 스피커와는 반대의 개념이다. 다만 스피커는 스피커폰의 준말이 아니니 주의이다. 또한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뜻으로의 스피커는 사실 다이내믹 스피커이다. 음성 전류 음파 출력 장치이며 사전적인 의미에서의 스피커는 '확성기'를 일컫어서 말한다. 흔히 쓰는 다이내믹 스피커와 다이내믹 마이크의 기계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음파와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반대일 뿐이다. 그래서 급할 때는 이어폰을 마이크로 쓸 수도 있어 음성 채팅 등에서는 권장을 한다. 다만 이어폰을 마이크로 쓴다면 출력이 작은 것은 피할 수 없으며 둘 다 종류가 다양하..

마우스 마우스는 컴퓨터에서 키보드와 함께 가장 대표적인 입력장치들 중의 하나로서 모니터의 커서(Cursor)를 이동시키고, 메뉴 등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마우스는 기계식 마우스, 광학식 마우스 및 레이저 마우스 등으로 구분되며 유·무선 형식을 갖추고 있다. 유무선 공유기 유무선 공유기는 여러 대의 컴퓨터들이 하나의 인터넷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각각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우터(Router) 기능과 여러 대의 컴퓨터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이더넷(Ethernet) 포트(Port)를 제공하는 허브(Hub), 브릿지(Bridge) 및 스위치(Switch) 등을 결합한 것이다. 또한 유선 및 무선 인터넷(WiFi)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AP(Access Point, 접속 지점..